알고리즘/DP

BJ S3 1003 피보나치함수 - Java

naksnaks 2024. 9. 30.
반응형

[문제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003

 


[문제]

다음 소스는 N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 C++ 함수이다.

int fibonacci(int n) {
    if (n == 0) {
        printf("0");
        return 0;
    } else if (n == 1) {
        printf("1");
        return 1;
    } else {
        return fibonacci(n‐1) + fibonacci(n‐2);
    }
}

fibonacci(3)을 호출하면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난다.

  • fibonacci(3)은 fibonacci(2)와 fibonacci(1) (첫 번째 호출)을 호출한다.
  • fibonacci(2)는 fibonacci(1) (두 번째 호출)과 fibonacci(0)을 호출한다.
  • 두 번째 호출한 fibonacci(1)은 1을 출력하고 1을 리턴한다.
  • fibonacci(0)은 0을 출력하고, 0을 리턴한다.
  • fibonacci(2)는 fibonacci(1)과 fibonacci(0)의 결과를 얻고, 1을 리턴한다.
  • 첫 번째 호출한 fibonacci(1)은 1을 출력하고, 1을 리턴한다.
  • fibonacci(3)은 fibonacci(2)와 fibonacci(1)의 결과를 얻고, 2를 리턴한다.

1은 2번 출력되고, 0은 1번 출력된다. N이 주어졌을 때, fibonacci(N)을 호출했을 때, 0과 1이 각각 몇 번 출력되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고, N이 주어진다. N은 4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또는 0이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0이 출력되는 횟수와 1이 출력되는 횟수를 공백으로 구분해서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3
0
1
3

 


[예제 출력 1]

1 0
0 1
1 2

[예제 입력 2]

2
6
22

[예제 출력 2]

5 8
10946 17711

 


[설명]

보통 재귀함수 문제는 DP로 풀었던 것 같다.이 문제를 처음보고 오랜만에 알고리즘 문제를 푸는거라 그냥 재귀로 풀어봤지만, 바로 시간초과에 걸려버렸다..!그래서 조금 더 깊게 생각해보니 제한시간이 0.25초라 다른 방법으로 풀어야 할 것 같았고, DP로 풀어보기로 생각되었다.

 

0과 1이 몇개인지를 파악해야하기 때문에, zero와 one 이라는 배열 두개를 생성해 시작하였다.DP는 0부터 뒤로 차근차근 넘어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구현해보았고 성공했다.

 

 

백준 알고리즘 1003번 JAVA풀이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BJ1003 {

    private static int[] zero = new int[41];
    private static int[] one = new int[41];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T=sc.nextInt();

        for(int i=0;i<41;i++){
            if(i==0) {
                zero[i] = 1;
                one[i] = 0;
            } else if(i==1){
                zero[i] = 0;
                one[i] = 1;
            } else {
                zero[i] = zero[i-1] + zero[i-2];
                one[i] = one[i-1] + one[i-2];
            }
        }
        for(int t=0;t<T;t++){
            int val = sc.nextInt();
            System.out.println(zero[val]+" "+ one[val]);
        }
    }

}

 

 

 

궁금하신 부분이나 부족한 점은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알고리즘 > DP' 카테고리의 다른 글

BJ S3 9461 파도반수열 - Java  (0) 2024.10.09
BJ_S1_10844_쉬운계단수 - Java  (0) 2022.06.07
BJ_S3_9461_파도반수열 - Java  (0) 2022.06.06
BJ_S1_2156_포도주시식 - Java  (0) 2022.06.06
BJ_G5_2225_합분해 - Java  (0) 2022.02.12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