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2 스택(Stack)과 큐(Queue) 스택(Stack) - 스택은 데이터를 한 열로 저장합니다. 하지만 후입선출(Last In First Out) 구조로 나중에 들어간 것이 먼저 나오는 구조입니다.- 링 던지기 게임이 스택의 예시입니다. - 데이터의 추가는 push라고 불리며, 스택 내부에 데이터가 쌓입니다.- 데이터의 삭제는 pop이라 불리며, 스택에 가장 마지막에 들어갔던 데이터가 나오게 됩니다. ex) A만 들어가 있는 스택이 있다. 스택에 B, C를 넣어보자.1) 스택에 B를 push한다. (A-B)2) 스택에 C를 push한다. (A-B-C)3) 스택에서 pop을 한다. (A-B)4) 스택에서 pop을 한다. (A) 예시에서 처럼 가장 나중에 들어간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오게 되는 구조가 바로 스택이다.스택이 가장 많이 활용되는 부.. CS 지식/자료구조_알고리즘 2025. 1. 8. List(리스트)와 Array(배열) List(리스트)- 리스트는 데이터를 일직선으로 줄줄이 정렬한 데이터 구조입니다.장점 : 데이터의 추가, 삭제 쉬움단점 : 데이터 조회 느림 - 데이터들은 각각 포인터를 가지고, 이 포인터는 각각 데이터의 다음 데이터의 메모리 주소를 가리킵니다. - 리스트는 포인터를 이용하므로 메모리상에서 연결된 위치에 있을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분산되어 배치됩니다. - 데이터 추가 방법A와 B 데이터 사이에 C라는 데이터를 추가할 때, A의 포인터가 C의 메모리 주소를 가리키게 하고,C의 포인터가 B의 메모리 주소를 가리키게 하면 끝이다. - 데이터 삭제 방법A와 B와 C가 연결되어 있을 때, B를 제거하고자 한다.A의 포인터를 C의 메모리주소를 가리키면 해결된다. 따라서 List에서의 시간복잡도는 다음과 같다.데.. CS 지식/자료구조_알고리즘 2025. 1. 7. 이전 1 다음 💲 추천 글